Passive Radiator(PR) 스피커에서 더 깊고 강한 저음을 만들고 싶을 때, 이런 고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 “저음을 살리려면 몇 Hz를 부스트해야 할까?”
⚠️ “잘못된 주파수를 부스트 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이 글에서는 PR 스피커에서 EQ 부스트를 어디에 걸어야 저음이 가장 잘 살아나는지, 그리고 잘못 부스트했을 때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
🔍 Passive Radiator란?
Passive Radiator는 보이스 코일이나 마그넷이 없는 진동판으로,
액티브 드라이버(우퍼)의 움직임에 따라 공기의 압력으로 함께 진동하면서 저음을 보강합니다.
이 PR은 특정한 공진 주파수(f₀)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움직이며, 그 주파수 부근에서 강한 저음을 만들어냅니다.
✅ EQ 부스트의 황금 법칙: PR의 공진점(f₀)보다 약간 위쪽을 부스트 하라
많은 분들이 "가장 낮은 저음을 EQ로 부스트 하면 더 강해지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PR의 공진 주파수보다 약간 위쪽을 부스트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위 그래프는 Passive Radiator 스피커의 SPL 곡선과 EQ 부스트 권장 대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해설
- 검은색 실선 : EQ 없이 기본적인 PR 시스템의 저역 응답 (공진점 75Hz 기준)
- 주황색 음영 구간 (75–95Hz) : 가장 효율적으로 부스트 할 수 있는 권장 EQ 대역
- 회색 점선: PR 공진 주파수 (f₀ = 75Hz)
- 주황색 점선 그래프 : EQ를 적용했을 때 실제 SPL 상승
✅ 핵심 요약
75Hz ~ 95Hz 부근을 Q = 1.0 ~ 1.5로 +3~6dB 부스트 하면,
PR과 드라이버가 함께 움직이면서 강하고 깔끔한 저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 EQ 부스트의 황금 법칙 : PR의 공진점(f₀)보다 약간 위쪽을 부스트 하라
많은 분들이 "가장 낮은 저음을 EQ로 부스트 하면 더 강해지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PR의 공진 주파수보다 약간 위쪽을 부스트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 추천 EQ 부스트 대역
PR 공진 주파수 (f₀) | EQ 부스트 권장 범위 |
75Hz | 80~95Hz ✅ |
65Hz | 70~85Hz ✅ |
50Hz | 55~70Hz ✅ |
40Hz | 45~60Hz ✅ |
- 🟢 게인(Gain): +3dB ~ +6dB (과한 부스트는 위험)
- 🟢 Q값: 1.0 ~ 1.5 (타이트한 저음을 위해)
이 범위를 부스트 하면 PR과 액티브 드라이버가 함께 움직이며 효율적으로 저음을 만들어냅니다.
❌ 잘못된 주파수를 부스트 하면?
너무 낮거나, PR 공진점과 동떨어진 주파수를 부스트 하면 여러 문제가 생깁니다.
🔻 공진점(f₀) 보다 너무 낮은 주파수 부스트 시
문제 | 설명 |
❌ PR이 반응하지 않음 | 저음 공진 없음 → 에너지 낭비 |
❌ 드라이버 과부하 | 액티브 드라이버가 모든 저음을 감당해야 함 |
❌ Xmax 초과 | 지나친 진폭 → 왜곡, 스피커 손상 |
❌ 출력 효과 없음 | 실제 SPL 상승 없음 (저음이 약하게 들림) |
🔻 공진점보다 너무 높은 주파수 부스트 시
문제 | 설명 |
❌ 저음 효과 없음 | 중저역만 강조되어 저음 강화 효과 미미 |
❌ 음색 붕괴 | 중음이 붕붕대며 어색한 톤이 됨 |
🎯 실제 예시 – 포터블 스피커 튜닝
Passive Radiator 공진 주파수가 75Hz인 소형 스피커의 경우.
- ✅ 최적 EQ 부스트: 80~95Hz, Q=1.2, +5dB
- ❌ 최악의 부스트: 40Hz (출력 없음 + 과도한 움직임)
- ✅ 보호 필터: 40~45Hz에 서브소닉 필터(HPF) 적용 권장
🛠️ 튜닝 요약 체크리스트
단계 | 내용 |
1️⃣ | PR 공진 주파수(f₀)를 측정 또는 시뮬레이션 |
2️⃣ | f₀보다 5~15Hz 높은 대역을 부스트 |
3️⃣ | Q = 1.0~1.5 설정 |
4️⃣ | f₀보다 너무 낮은 대역은 HPF로 차단 |
5️⃣ | 리미터 또는 AGL로 과출력 방지 |
📘 결론
Passive Radiator 스피커에서 강한 저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작정 낮은 주파수를 부스트 하는 게 아니라,
PR 공진점보다 약간 위 주파수에서 스마트하게 EQ 부스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정확한 튜닝을 통해 작고도 깊고 강한 저음을 만들어보세요!
'Sound Story > Design Passive Radia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왜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진동판이 커지면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는가? (0) | 2025.04.19 |
---|---|
🔧 패시브라디에이터 Q값을 조절할 수 있는 7가지 방법 (0) | 2025.04.13 |
🎯 PR(패시브라디에이터) 공진 주파수(F₀) 설정 기준 (0) | 2025.04.12 |
🎯 Passive Radiator 튜닝이란? (0) | 2025.04.12 |
패시브 라디에이터(Passive Radiator)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할까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