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관적으로는 "진동판이 커지면 저음이 잘 날 것 같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패시브 라디에이터 시스템의 공진 원리는 조금 다릅니다.
⚙️ 1. 기본 공진 주파수 공식
패시브 라디에이터는 질량-스프링 시스템으로 동작하며, 공진 주파수 fr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K : 스프링 상수 (진동판 서스펜션 + 인클로저 내부 공기 스프링)
- M : 진동판의 이동 질량
📏 2. 진동판이 커지면 생기는 효과
진동판의 면적을 키우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깁니다:
- 진동판이 커지면 서스펜션의 전체 면적도 커짐
- 이로 인해 스프링 복원력(K)이 증가 → 더 단단해짐
- 만약 질량(M)은 그대로거나 조금만 증가하면?
👉 즉, 공진 주파수가 상승하여, 더 고역대(중저음 또는 중역)에 가까운 소리가 나게 됩니다.
반응형
🏋️ 3. 질량도 함께 증가시킨다면?
- 진동판을 키우되, 추가 질량(예: 금속 링 등)을 부착하면
- M이 함께 증가 → 공진 주파수를 낮게 유지 가능
- M이 함께 증가 → 공진 주파수를 낮게 유지 가능
- 실제 고급 PR 설계에서는 큰 진동판 + 가중물 부착을 함께 사용
그렇지 않으면, 커진 진동판이 오히려 깊은 저음 재생에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요약 : 진동판이 커지면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는 이유
항목 | 효과 |
진동판 면적 증가 | 서스펜션 복원력 증가 → 증가 |
질량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으면 | ![]() |
결과 | 공진 주파수가 높아짐, 저역보다 중저역으로 치우침 |
🧪 실제 튜닝 팁
- 큰 진동판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추가 질량을 부착하여 공진 주파수를 낮춰야 깊은 저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그렇지 않으면 타이트하지만 얕은 저음이나 중저역 부스트로 설계가 끝나게 됩니다.
물론 이부분은 이론적인 상황이며 작은 진동판에서 설계를 어떤 방향으로 하는 것에 따라 다르다.

🎯 서스펜션(Suspension)의 정의
서스펜션은 스피커 진동판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고 중심을 유지하는 구조입니다. 주로 다음 두 가지 부품으로 구성됩니다.
- 서라운드(Surround) : 진동판 외곽에 위치한 고무나 폼 재질의 링
- 스파이더(Spider) :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근처에 있는 물결 모양의 패브릭 (패시브 라디에이터에는 생략되기도 함)
🧩 서스펜션의 주요 역할
역할 | 설명 |
🌀 복원력 제공 (스프링 역할) | 진동판이 움직인 후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힘을 제공함. 이것이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됨. |
📐 중심 정렬 유지 | 진동판이 비뚤어지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정확히 움직이도록 가이드함. 오프셋 방지. |
🚫 과도한 이동 억제 | 진동판이 지나치게 움직이지 않도록 제어해 기계적 파손이나 왜곡을 방지함. |
🎧 소리 특성 조절 | 서스펜션의 강성(Stiffness)은 소리의 타이트함, 반응성, 저음 깊이에 직접 영향을 줌. |
🔧 공진 튜닝 요소 | 특히 패시브 라디에이터에서는, 서스펜션 강성이 전체 공진 주파수 튜닝에 핵심적인 변수임. |

📐 수식 속에서의 서스펜션
서스펜션은 스프링 상수 에 해당합니다.


👉 서스펜션이 강할수록 K가 커지고, 공진 주파수 fr는 높아집니다.
🧠 요약
- 서스펜션은 소리를 제어하는 기계적 스프링 역할을 합니다.
- 진동판의 이동 거리, 복원 속도, 중심 유지, 소리의 타이트함을 결정합니다.
- 서스펜션의 설계는 단순한 부품 선택이 아니라, 소리 성향을 조정하는 정밀한 튜닝 요소입니다.
🎧 1. Suspension Stiffness (서스펜션 강성)
항목 | 강한 서스펜션 (Stiff Suspension) | 부드러운 서스펜션 (Soft Suspension) |
복원력 | 복원력이 강해서 진동판이 빨리 되돌아옴 | 복원력이 약해 더 느리게 복귀 |
공진 주파수 | 공진 주파수가 높아짐 | 공진 주파수가 낮아짐 |
저음 성향 | 타이트하고 짧은 저음 → 타격감이 강한 베이스 |
풍부하고 늘어지는 저음 → 묵직하고 묻히는 듯한 베이스 |
임펄스 응답 | 빠르고 정밀 | 비교적 느리고 잔향이 길어짐 |
저역 제어력 | 과도한 저음 진동 억제 가능 | 저역에서 진동이 더 길게 지속됨 |
🎯 요약:
- 강한 서스펜션 = 타이트하고 빠른 저음
- 부드러운 서스펜션 = 부드럽고 깊은 저음 (하지만 약간 뭉개질 수 있음)
🏋️♂️ 2. Mass (질량 크기)
항목 | 가벼운 질량(Lighter Mass) | 무거운 질량(Heavier Mass) |
반응 속도 | 빠르게 움직이고 멈춤 → 반응 빠름 | 관성이 커서 느리게 움직임 |
공진 주파수 | 높은 공진 주파수 → 중저역 강조 | 낮은 공진 주파수 → 더 깊은 저역 가능 |
저음 특성 | 짧고 단단한 저음 | 더 깊고 묵직한 저음 |
에너지 저장량 | 작음 → 반응은 빠르나 저음 양감은 적음 | 큼 → 깊고 풍부한 저음 가능 (특히 대형 박스에서 효과적) |
리니어리티 | 고출력에서 쉽게 흔들림 (XMAX 한계) | 더 안정적이나 무거운 질량은 동적 반응이 느림 |
🎯 요약
- 가벼운 질량 = 빠르고 선명한 반응, 중역 강조
- 무거운 질량 = 묵직하고 깊은 저음, 저역 강조
🎵 실제 음향 성향 비교 예시
구성 | 예상 음색 |
강한 서스펜션 + 가벼운 질량 | 타이트하고 반응 빠른 베이스 → 펀치감 위주 |
부드러운 서스펜션 + 무거운 질량 | 깊고 풍부하지만 뭉개지는 저음 → 서브우퍼 느낌 |
부드러운 서스펜션 + 가벼운 질량 | 부드럽고 반응 빠르지만, 저역은 얕음 |
강한 서스펜션 + 무거운 질량 | 강한 복원력과 깊은 저음을 동시에 → 강한 컨트롤 베이스 |
💡 결론
- 서스펜션은 소리의 "탄성감"과 "속도감"을 결정합니다.
- 질량은 저음의 "깊이"와 "묵직함"을 결정합니다.
- 두 요소를 조합하면 원하는 소리 성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Sound Story > Design Passive Radia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assive Radiator 스피커의 저음을 강하게 만드는 EQ 부스트 방법 – 잘못 부스트하면 생기는 문제까지! (0) | 2025.04.22 |
---|---|
🔧 패시브라디에이터 Q값을 조절할 수 있는 7가지 방법 (0) | 2025.04.13 |
🎯 PR(패시브라디에이터) 공진 주파수(F₀) 설정 기준 (0) | 2025.04.12 |
🎯 Passive Radiator 튜닝이란? (0) | 2025.04.12 |
패시브 라디에이터(Passive Radiator)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할까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