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프레서를 사용하여 저음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컴프레서는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줄여서 저음을 더 부각하고, 신호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강력한 저음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컴프레서를 이용해 저음을 강화하는 단계별 방법입니다.
1. 저주파수 대역 선택
먼저, 저주파수 대역을 타겟으로 설정합니다. 이 작업은 멀티밴드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됩니다. 예를 들어, 저주파수 대역을 20Hz에서 200Hz 사이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컴프레서 설정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저음을 강화하기 위해 주요 매개변수를 설정합니다. 이 작업은 DAW(Digital Audio Workstation)에서 컴프레서 플러그인을 사용하거나 전용 하드웨어 컴프레서를 통해 수행할 수 있습니다.
2.1. 스레숄드(Threshold) 설정
스레숄드는 컴프레서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신호 레벨을 결정합니다. 저주파수 신호가 이 레벨을 초과할 때 컴프레서가 작동합니다. 저주파수 대역의 평균 레벨보다 약간 낮게 설정합니다.
예시: 저주파수 신호의 평균 레벨이 -20dB일 경우, 스레숄드를 -25dB로 설정합니다.
2.2. 레이시오(Ratio) 설정
레이시 오는 입력 신호가 스레숄드를 초과할 때 출력 신호가 얼마나 감소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저음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레이시 오를 설정 합니다.
예시: 4:1 레이시오 설정. 이는 입력 신호가 스레숄드를 4dB 초과할 때 출력 신호가 1dB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2.3. 어택(Attack)과 릴리스(Release) 설정
- 어택 타임: 컴프레서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시간입니다. 저주파수 신호에 대해 빠른 어택 타임을 설정하여 갑작스러운 저주파수 피크를 제어합니다.
- 릴리스 타임: 컴프레서가 작동을 멈추는 시간입니다. 저주파수 신호의 자연스러운 감쇠를 위해 느린 릴리스 타임을 설정합니다.
예시: 어택 타임 10ms, 릴리스 타임 200ms.
3. 컴프레서 적용과 조정
설정이 완료되면, 저주파수 대역에 컴프레서를 적용합니다. 신호를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최적의 저음 강화 효과를 얻습니다.
과정 예시:
- 원본 신호 : 베이스 드럼 트랙의 저주파수 대역.
- 컴프레서 설정 : 스레숄드 -25dB, 레이시오 4:1, 어택 타임 10ms, 릴리스 타임 200ms.
- 결과 : 베이스 드럼의 저주파수 피크가 압축되어 일관된 저음을 제공합니다.
4. 멀티밴드 컴프레서 활용
멀티밴드 컴프레서는 여러 주파수 대역을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저주파수 대역만을 타깃으로 하여 컴프레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멀티밴드 컴프레서 설정 예시:
- 저주파수 대역 : 20Hz ~ 200Hz
- 중주파수 대역 : 200Hz ~ 2000Hz
- 고주파수 대역 : 2000Hz 이상
각 대역에 대해 별도로 컴프레서를 설정하여 저주파수 대역만 압축하고, 다른 대역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결론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저음을 강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주파수 대역 선택: 저주파수 대역을 설정합니다.
- 스레숄드 설정: 저주파수 신호의 평균 레벨보다 약간 낮게 설정합니다.
- 레이시오 설정: 높은 레이시 오를 설정 하여 강력한 저음을 제공합니다.
- 어택과 릴리스 설정: 빠른 어택 타임과 느린 릴리스 타임을 설정합니다.
- 멀티밴드 컴프레서 활용: 저주파수 대역만 타깃으로 하여 압축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저주파수 신호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강력한 저음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Sound Story > EQ Tu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프래서 (Compressor) 튜닝 방법_목소리 명료도 높이는 방법 (0) | 2024.07.05 |
---|---|
Ti AMP - Energy Time 설명 (0) | 2024.07.02 |
하모닉 신장 (Harmonic Enhancement)과 서브 하모닉 신장 (Sub-Harmonic Enhancement) 예시 (0) | 2024.06.02 |
익스팬더(Expander)로 저음을 강하게 하는 방법 (0) | 2024.06.02 |
EQ 튜닝 시 알아야 할 중요 사항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