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 Story/EQ Tunning

소형 스피커 튜닝할 때, 입력 감도 설정에 따라 소리가 이렇게 달라집니다.

톤King 2025. 4. 12. 14:49
반응형

스피커의 소리를 결정짓는 요소는 정말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입력 감도(Input Sensitivity)"는 소형 스피커 튜닝에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같은 드라이버, 같은 앰프를 사용하더라도 입력 감도 설정값이 다르면 음질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형 블루투스 스피커나 포터블 스피커를 튜닝할 때, 입력 감도를 가장 낮게 설정했을 때와 높게 설정했을 때의 음질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입력 감도란 무엇인가요?

입력 감도는 쉽게 말해, 앰프가 얼마나 작은 신호에도 반응해서 소리를 내는지를 결정하는 값입니다.

  • 높은 입력 감도 : 작은 신호에도 쉽게 반응 → 빨리 소리가 커짐
  • 낮은 입력 감도 : 더 큰 입력 신호가 있어야 반응함 → DSP 출력이 강해야 함

⚖️ 입력 감도 설정에 따른 음질 차이 비교

항목 높은 입력 감도 설정 낮은 입력 감도 설정
출력 반응 작고 약한 신호에도 쉽게 출력됨 강한 입력이 있어야 출력됨
노이즈 백색 노이즈(히스)가 잘 들림 배경 노이즈가 매우 적음
저음 성능 퍼지고 약한 경향 있음 단단하고 묵직한 저음 구현
다이내믹 레인지 작음 (클리핑 위험 높음) 큼 (여유 있는 출력 가능)
DSP 헤드룸 부족할 수 있음 넉넉히 확보 가능
사용 추천 초보자용 간편 설정, 볼륨 우선 고급 튜닝, 고음질 지향
반응형

🛠 실제 튜닝 예시

TI사의 TAS5805 M 앰프 칩을 예를 들면
이 칩은 DSP 내장형으로, 입력 감도를 I²C 명령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시도한 설정 비교

  • 설정 1 (높은 감도)
    • Input Gain = +18 dB (레지스터 값 0x30)
    • 장점: 입력 신호가 작아도 소리 큼
    • 단점: 고역에서 노이즈가 많이 들리고, 저음이 약하게 퍼짐

  • 설정 2 (낮은 감도)
    • Input Gain = 0 dB (레지스터 값 0x0C)
    • DSP 출력 게인: +6 dB (EQ 단), 리미터 Threshold –1 dB 설정
    • 결과 : 저음이 단단하게 들리고, 전체적인 해상도 상승
      특히 조용한 음악에서도 배경이 매우 깨끗하게 느껴졌습니다.

🎛 이런 세팅을 추천합니다

✅ 고음질 추구할 경우

  • Input Gain : 0 dB 또는 –3 dB
  • DSP Output Gain : EQ 또는 Post Gain에서 +6 dB 확보
  • Limiter : Threshold –1 dB, Release Time 100ms
  • Check : 반드시 실제 음악으로 청감 테스트!
  • 툴 추천: REW, PurePath Console 3, 오실로스코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