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 Story/Design Passive Radiator

패시브 라디에이터 디자인 방법

톤King 2024. 1. 21. 00:38
반응형

패시브 라디에이터 디자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는 스피커 내부의 압력 변화를 이용해 저음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특히 작은 스피커에서 효과적인 저음 재생을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1.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원리
     패시브 라디에이터는 스피커 내부의 공기 압력 변화에 의해 움직이는, 모터나 음성 코일이 없는 스피커 유닛입니다.
     액티브 드라이버(일반 스피커 유닛)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공기 압력에 의해 패시브 라디에이터가 움직여
     저음을 증강시킵니다.

  2. 설계 요소 고려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설계는 그 크기, 무게, 그리고 탄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스피커의 음향 성능, 특히 저음 응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크기: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크기는 내부 공기와의 상호작용을 결정하며, 더 큰 패시브 라디에이터는 보통
               더 낮은 주파수의 저음을 재생하는데 효과적입니다.
    • 무게: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무게는 그의 움직임을 결정합니다. 무게가 무거울수록 낮은 주파수에서 더 잘
               움직이지만, 너무 무거우면 반응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탄성: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서스펜션(탄성을 제공하는 부분)은 움직임의 범위와 속도를 결정합니다.
               너무 탄력적이면 낮은 주파수에서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뻣뻣하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조율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조율은 스피커 박스의 크기와 내부 공기의 압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조율을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저음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4. 재질 선택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재질은 내구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경량이면서도 견고한 재질이 바람직합니다.

  5. 시뮬레이션과 테스팅: 컴퓨터 모델링과 실제 테스트를 통해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합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 디자인은 스피커의 전체적인 사이즈, 성능 목표, 그리고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질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조율"이라는 용어는 스피커 및 오디오 시스템 디자인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여기서의 조율은 스피커 또는
특히 패시브 라디에이터를 특정 주파수 대응에 맞게 최적화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스피커 시스템에서 조율의
주된 목적은 주어진 스피커 박스 크기와 드라이버의 특성에 맞게 저음 응답을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조율 과정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합니다:

  1.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물리적 특성 
    이는 무게, 크기, 재질, 그리고 서스펜션(탄성)의 특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패시브 라디에이터가 어떻게 움직일지, 어떤 주파수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할지 결정합니다.

  2. 스피커 박스의 크기와 형태 
    스피커 박스의 내부 부피와 형태는 공기의 압력과 움직임을 결정하며, 이는 패시브 라디에이터의 작동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타겟 주파수 응답 
    조율 과정에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성능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더 깊은 저음을 원한다면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응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율합니다.

조율은 이론적 계산, 컴퓨터 시뮬레이션, 그리고 실제 음향 측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스피커 시스템이 목표로 하는 음향 성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