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 Story/스피커 이론

🔉 인클로저 내 흡음재가 PR의 Q값에 미치는 영향

톤King 2025. 4. 13. 13:35
반응형

✅ 1. 기본 개념 : "Q값은 에너지 저장 vs 에너지 손실의 비율"

 

  • Q값이 높다 = 공진 주파수에서 에너지가 오래 남아 있고, 잘 안 사라짐 → 부밍
  • Q값이 낮다 = 진동이 빠르게 사라짐 → 부밍 억제

🧪 2. 흡음재가 하는 역할: 에너지 소산(dissipation)

흡음재는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1) 공기 마찰

  • 소리파가 흡음재를 통과하면서 마찰 → 운동 에너지가 열로 변환됨 → 에너지 손실 발생

(2) 기체 압축/이완 저항

  • 폐쇄된 공간 내 공기가 PR 진동에 따라 압축되는데, 흡음재가 이를 기계적으로 저항
    → PR 진폭이 줄어들고, 에너지 지속 시간이 짧아짐

즉, 이 모든 작용이 “에너지 손실량 ↑” → Q값 ↓ 로 이어지는 거예요.

반응형

⚙️ 3. 수학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나요?

여기서

  • = 기계적/공기 저항 (댐핑 값)흡음재가 증가시키는 변수
  • = PR의 질량
  • K = 시스템의 복원력 (스프링 상수 등)

흡음재를 많이 넣으면

  • R↑ → Q ↓

흡음재가 없거나 약하면

  • R↓ → Q ↑


📦 4. 소형 밀폐형 구조일수록 더 민감한 이유

왜 소형 + 밀폐형 구조에선 흡음재 영향이 크냐면?

요소 영향
공간이 좁음 공기압 변동이 큼 → 압축/이완 강도 ↑
벽 반사 ↑ 소리의 반사가 반복됨 → 흡음재 없으면 Q ↑
내부 공명 피크↑ 댐핑 없으면 정재파 발생 위험↑

📌 이때 흡음재가 없으면,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피크(Q값 상승)가 그대로 남게 됩니다.


🎯 정리 요약

조건 물리적 변화 수학적 영향 Q값 변화
흡음재 많음 마찰↑, 공진 흡수↑ R↑R ↑ Q ↓
흡음재 없음 에너지 지속↑, 반사↑ R↓R ↓ Q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