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생활정보

기초연금 VS 노령연금 지급 기준과 차이점

톤King 2025. 3. 24. 07:27
반응형
반응형

한국의 기초연금노령연금은 모두 고령층의 노후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지만, 지급 목적, 수급 요건, 금액 산정 방식 등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제도의 지급 기준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비교해 드릴게요.

 

✅ 1. 개념 비교: 기초연금 vs 노령연금

구분기초연금노령연금 (국민연금의 일종)
목적 소득이 적은 고령층의 노후소득 보장 국민연금 가입자의 노후소득 보장
운영 주체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
재원 전액 국가 재정 (세금) 본인의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분

✅ 2. 지급 대상 및 요건

🔹 기초연금

  • 연령 요건: 만 65세 이상
  • 국적 및 거주 요건: 대한민국 국적, 국내 거주
  • 소득 요건:
    • 전체 노인 중 소득하위 70% 이하
    •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 + 재산환산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여야 함
    • 예: 2024년 단독가구 기준 약 202만 원, 부부가구는 약 323만 원 이하

🔹 노령연금 (국민연금 수급)

  • 연령 요건: 출생연도별로 만 60~65세부터 가능
    • 예: 1957~1960년생은 만 62세부터 수령
  • 가입기간 요건: 국민연금 최소 10년 이상 가입
  • 소득 요건 없음: 소득에 상관없이 지급

 

 


✅ 3. 지급 금액 및 산정 방식

🔸 기초연금

  • 월 최대 약 32만 원 (2024년 기준)
  • 부부 수급 시 감액 적용
  • 금액은 국민연금 수령 여부, 소득 수준 등에 따라 달라짐

🔸 노령연금

  • 가입 기간과 소득에 따라 매월 10만 원 ~ 수십만 원 이상
  • 예: 30년 가입자는 약 50만~60만 원 이상 가능
  • 국민연금 보험료를 얼마나 오래, 얼마나 많이 납부했는지에 따라 결정됨


✅ 4. 함께 받을 수 있을까?

  • 가능함.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중복 수급 가능
  • 단, 노령연금 수령액이 많을수록 기초연금은 감액
    • 예: 노령연금으로 월 50만 원 이상 수령하는 경우, 기초연금이 10만~20만 원 이하로 줄어들 수 있음

 

✅ 5. 주요 차이점 요약

항목기초연금노령연금
수급 조건 소득하위 70%, 만 65세 이상 국민연금 가입기간 10년 이상
재원 국가 세금 본인 보험료
수령 금액 최대 32만 원 (감액 가능) 가입기간/소득에 따라 상이
소득 제한 있음 없음
중복 수령 가능하나 감액 적용 가능

✅ 마무리 요약

  • 기초연금국가가 저소득 노인을 위한 복지 정책으로 운영하는 연금으로, 모두가 받을 수는 없고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합니다.
  • 반면,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의 권리로, 보험료를 10년 이상 납부한 사람은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두 연금은 동시에 받을 수 있으나, 노령연금 수령액이 많을수록 기초연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